블로그
스파이더 로보틱스 자료실입니다.
유리창 청소로봇 어떻게 유리창을 닦게될까요
작성자 관리자 ㆍ 날짜 2020-10-23 ㆍ 첨부 블로그 5.docx
유리창 청소로봇 어떻게 유리창을 닦게될까요
유리창 청소로봇, 세정력 80~90을 유지해야 합니다
유리창 청소를 고민하다 보면 사람이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인건비가 많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안전 위험이 있다 보니 사람이 아닌 유리창 청소로봇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여러 가지 편리한 점이 있지만 제대로 유리창을 닦아내지 못한다면 말짱 도루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유리창 청소로봇은 사람에 비해 세정력이 떨어 지는게 사실입니다. 아무래도 창문 모서리 부분의 청소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떤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일정한 세정력의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세정력의 목표 수치를 확인해보시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창문턱을 오가며 청소가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스파이더 로보틱스의 경우 거미 형상의 특성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청소는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정력을 낮출 수 없습니다. 현재 목표수치는 80~90%로 잡고 있는데요. 사람이 닦는 것을 100으로 둔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오염은 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사람이 하는 것보다 더 나은 점은 자주 유리창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한 번 닦아 내는 데는 사람에 비해 모자랄 수 있으나 전체적인 청결 유지에서는 오히려 더 낫습니다. 유리창에 붙여 두기만 하면 자동으로 유리창 청결을 유지하기 때문인데요.
세정력이 높은 방식 채택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최대한 세정력이 높은 방식을 채택해야 합니다. 유리창 청소로봇이 선택할 수 있는 청소방식은 청소용 롤러, 청소용 사각패드, 회전형 원형 브러시가 있습니다. 청소용 롤러의 경우 고무 밀대와 같이 닦아 내는 방식을 말합니다.
하지만 세정력이 높은 편이 아니 라서 선택을 잘 하지 않는데요. 또한 패드의 경우에도 한 번 닦아내고 지나가는 수준이라 세정력을 80~90%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다 보니 유리창 청소로봇은 회전형 원형 브러시를 많이 선택하고 있습니다.
회전형 원형 브러시의 경우 회전하면서 한 번이 아닌 여러 번 닦아내 세정력이 좋습니다. 스파이더 로보틱스는 여기에 건조 문제 등을 고려해 극세사 헝겊 재질의 브러시를 활용하려고 합니다.
여기에 오래된 찌든 때를 지울 수 있는 세정액을 함께 분사하려고 하는데요. 분무기 방식을 채택해 흩뿌리기 때문에 원형 브러시에 골고루 묻혀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정액으로 인한 문제 CNC와 공랭식 건조용 팬으로 해결
이를 위해 스파이더 로보틱스는 컴퓨터 수치 제어인 CNC를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절단유를 공급하는 방식을 통해서 세정액을 분사합니다. 다만
세정액으로 인해서 유리창 청소를 할 경우 다리에 달린 흡착부재가 떨어질 수 있는데요.
이럴 경우 스파이더 로보틱스는 공랭식 건조용 팬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세정액이 창문 부분만 정확하게 닦을 정도로 분사되는 경우 흡착 문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채택할지는
개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네요.
이처럼 유리창 청소로봇은 자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십분 활용하는 방법으로 유리창 청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여기에 스파이더 로보틱스와 같이 거미 다리 모양을 가지고 유리창벽을 오갈 수 있다면 더욱 세세한 컨트롤이 필요합니다. 결국 기술력에 따라서 유리창 청소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